본문 바로가기

개발상식

(2)
Polling, Long Polling, Socket, SSE 웹 어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을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그렇기에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 없이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보내고 받는 매카니즘은 없었다. 하지만 시대는 계속해서 변화하고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통신 방법의 필요성이 증가했다. 이에 아래와 같은 네트워크 기술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HTTP의 비연결성 특징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Polling, Long Polling, WebSocket, SSEPolling, Long Polling, Socket, SSE 비교하기PollingHTTP Long Polling 기술은 서버가 사용자에게 가능한 빠르게 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그러니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낼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어..
[네트워크] HTTP vs HTTPS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주소창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식은 http 혹은 https 로 시작되는 도메인이다. 우리는 이 주소창에 해당 양식의 url 을 입력하면 목표하는 웹사이트로 이동하게 된다. 서버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이 url에 숨겨진 내용은 무엇일까. www는 World Wide Web의 줄임말 💡 도메인 DNS (Domain Name Service) IP 주소와 도메인 명을 서로 교환하는 장치 인터넷에서는 컴퓨터 식별을 위해 IP 주소를 사용하는데 여기 이름을 붙인 것이다. DNS 서버는 트리 구조로 이뤄졌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W3 상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규칙, 규약)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데이터(텍스트/이미지/동영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