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 썸네일형 리스트형 [네트워크] HTTP vs HTTPS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주소창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식은 http 혹은 https 로 시작되는 도메인이다. 우리는 이 주소창에 해당 양식의 url 을 입력하면 목표하는 웹사이트로 이동하게 된다. 서버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이 url에 숨겨진 내용은 무엇일까. www는 World Wide Web의 줄임말 💡 도메인 DNS (Domain Name Service) IP 주소와 도메인 명을 서로 교환하는 장치 인터넷에서는 컴퓨터 식별을 위해 IP 주소를 사용하는데 여기 이름을 붙인 것이다. DNS 서버는 트리 구조로 이뤄졌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W3 상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규칙, 규약)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데이터(텍스트/이미지/동영상 .. [Java] JVM의 이해(3) - Garbage Collection GC, Garbage Collection JVM은 운영체제로부터 메모리를 활동받아 동작한다. 그렇다면 JVM은 메모리를 어떻게 관리할까? C 언어를 배웠을 때를 생각하면 변수에 메모리를 동적할당(malloc)하고 해제(free)하는 과정들이 있었지만 자바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제네릭을 이용해 변수를 선언했을 때 동적으로 크기가 변화하기도 했다. 프로그램이 끝날 때 까지 할당된 메모리가 해제되지 않는다면 분명히 저장 가능한 메모리는 바닥날 것이고 OOME(Out Of Memory Error)가 발생하고 만다. 실제로도 자바가 발전하면서 애플리케이션 지연(Suspend) 현상이 두드러짐에 따라 GC가 개발되었다. GC는 필요하지 않은 메모리를 해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를 확보해나간다. 필요한 메모리 영.. [Java] JVM의 이해(2) - 주요 메모리와 static 지난번 포스트에서 JVM의 구조에 대해 살펴봤다. 이번에는 JVM이 메모리를 어떻게 관리하는지 들여다보려고 한다. Runtime Data Area 중 주요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자. Method Area 클래스 정보를 처음 메모리 공간에 올릴 때 초기화되는 대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 Runtime Constant Pool 영역을 통해 상수 자료형을 저장하여 참조하고 중복을 방지한다. Heap Area 자바로 구성된 객체 및 JRE 클래스가 탑재되는 영역 String Pool, 실제 데이터를 가진 인스턴스, 배열 등 저장 JVM Stack Area 메소드 안에서 사용되는 값, 메소드의 매개변수, 지역변수, 리턴값 및 연산 시 일어나는 값 저장 PC Register 현재 수행중인 JVM 명령의 주소를 .. 이전 1 2 3 4 5 6 다음